테스트넷, 에어드랍 등

Kreatorland Testnet 참여 (크리에이터랜드, zkSync Era 테스트넷)

havelaw.eth 2023. 3. 1. 11:29
반응형

안녕하세요.

 

 

오늘은 크리에이터랜드 테스트넷 관련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 발행량의 15%를 테스트넷 참여자에게 할당된다는 정보를 만두님께서 알려주셔서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만두님픽은 알죠!? 만두님 정보가 궁금하다면 여기로...

 

 

 

📍Kreatorland

크리에이터랜드는 완전히 분산된 NFT 출시 플랫폼입니다. 이 플랫폼을 통해서 NFT를 쉽게 출시할 수 있다는 뜻이겠지요? 크리에이터랜드의 거버넌스 토큰 $KND가 확정도 되었네요.

 

 

 

📍Kreatorland 테스트넷 참여방법은?

그렇다면, 어떻게 참여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일반적인 테스트넷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자동스럽게 트랜잭션이 생성되는데요? 뭐 어렵지 않으니 1~2계정만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1/ 테스트넷 토큰 브릿지

zkSync Era 테스트넷을 사용하기에 ETH를 Goerli 네트워크에서 zkSync Era 테스트넷으로 브릿지 해주세요. 제가 해보니 토큰이 이동하는데 약 1분정도 걸렸던 것 같네요.

🔗 브릿지 사이트

 

 

 

2/ Kreatorland 플랫폼 사용해 보기 (Launch NFT)

크리에이터 홈페이지로 이동해 지갑을 연결하고 zkSync Testnet 네트워크로 설정한 후에 아래 순서대로 클릭해 주세요

🔗 크리에이터 홈페이지

 

 

 

3/ 프로필 작성 & Mint NFT

프로필 작성하는 항목이 나옵니다. username 정도만 작성해도 되겠네요? 다른 것도 작성하고 싶으시면 작성하신 후, 아래에 Update Profile을 클릭해 주세요. 그다음에 NFT Mint 할 사진을 올리고 이름과 설명 등을 작성하여 Create를 클릭하시면 됩니다.

 

 

저는 이전 포스팅에서 작성한 Huma NFT 이미지를 올려봤습니다. Minting NFT라고 표기가 뜨고 메타마스크 승인을 해주세요. 수수료가 조금 나가기 때문에 이전에 브릿지를 한 것이지요? 그리고 조금 기다리면 Minting이 완료됩니다. 

 

 

 

4/ 프로필로 이동해 만든 NFT를 확인하기

테스트넷이라 그런지 NFT를 생성하고 프로필로 이동하면 바로 NFT가 보이지 않더라고요? 저는 사실 어제 다른 계정으로 만들어 두었었는데 다시 그 계정으로 들어가 보니 아래 프로필처럼 생성이 완료되어 있었습니다. 조금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.

 

 

5/ 피드백 남기기

그리고 이제 Kreatorland 디스코드로 가서 피드백을 남겨주도록 합시다. #testnet-discusstion 채널에 들어가서 작업을 하면서 캡처해 두었던 것을 올리거나 프로필 사진에 생성된 nft를 올리고 지갑주소를 올리고 테스트넷 사용하면서 불편했던 점 등등을 남겨주세요.

🔗 디스코드 링크

 

 

피드백도 남겨보았습니다. 이렇게 완료하시면 됩니다. 이외에도 플랫폼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목적이니 Create Collection과 Generate Collection, Launch Collection도 이용해 보시며 트랜잭션을 만들어보도록 하세요.

 

 

테스트넷 작업 완료!

어렵지 않네요! 

 

 

✅ Kreatorland

🔗 Kreatorland Site

🔗 Kreatorland Discord

🔗 Kreatorland Twitter

 

 

✅ 해브로 채널

🔗 텔레그램
🔗 트위터
🔗 네이버 블로그
🔗 Mirror
🔗 티스토리

🔗 Lenster

🔗 Lensfrens

 

 

 

반응형